본문 바로가기

Hoffen - Three

DAW: Studio One 의 장점과 단점 및 가격

길고 긴 DAW 유목 생활을 지나 드디어 Studio One에 정착을 했습니다.

과거 사용했던 DAW 읽어보기 → https://hoffen.tistory.com/2

 

Studio One은 강력한 기능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많은 작곡가 및 엔지니어에게 사랑받는 DAW 입니다. 저 역시 많은 DAW를 지나 Studio One에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간단하게 Studio One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가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tudio One Pro+ (출처: PreSonus)

 

장점

직관적인 드래그 앤 드롭 인터페이스

 

트랙, 플러그인, 샘플 등을 간단히 드래그해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사용해보면 특별하다고 느껴지지 않을 만큼 너무도 당연한듯 작동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장점으로 인식하지 못하다가도 막상 다른 DAW를 만져보게 되면 이 당연한게 되지 않는 모습에 당황하게 됩니다.

 

오디오 엔진

출처: Sound&Video Contractor

 

Studio One 의 64-bit 오디오 엔진은 높은 퀄리티의 음악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물론 Studio One 단독으로 지원하는 기능은 아니지만  64-bit 작업을 지원하느냐 마느냐는 생각보다 작업 환경 선택에 있어서 꽤나 중요한 요인이 되곤 합니다.

 

Studio One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는 낮은 레이턴시 입니다.

 

제가 직전에 사용했던 Logic Pro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가 낮은 레이턴시와 MAC 이라는 하드웨어에 거의 완벽하게 붙어있는 호환성이었습니다.

 

Studio One의 경우 첫째로는 프로그램 자체가 상당히 가벼운 편입니다.

때문에 많은 수의 트랙을 작업하는데에도 큰 문제가 없고 기본적인 레이턴시도 상당히 낮아 작업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수준입니다.

 

 

MIDI, 서드파티 플러그인 지원

MIDI는 사운드 엔지니어 뿐만 아니라 작곡가에게도 꽤나 중요한 부분입니다.

 

복잡한 키보드의 단축키나 특정 기능을 찾아 여러번 메뉴를 뒤적이는 것 보다 MIDI CC 값으로 버튼의 클릭이나 페이더의 움직임만으로도 수많은 일을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물론 MIDI의 활용성은 이보다 훨씬 다양합니다.

때문에 MIDI의 지원은 당연히 DAW 라면 가지고 있어야 할 기본이 됩니다.

 

또한 Studio One은 수많은 서드파티 플러그인을 지원합니다.

때문에 타 DAW를 사용하면서 꾸준히 모아온 여러 가상악기나 이펙터 등을 아무런 변환이나 제약 없이 그대로 Studio One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링 기능 내장

출처: Sound On Sound

 

Studio One이 자신의 최고의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입니다.

 

곡의 스케치에서부터 마무리인 마스터링까지 모든 작업을 하나의 DAW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에드온을 함께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마스터링은 별도로 맡기고 스케치부터 그 전 작업까지만 직접 하다보니 마스터링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장점인지는 와닫지 않지만 실제로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시작부터 마무리까지 끝낼 수 있고 그럴만한 환경이나 실력이 있다면 꽤나 매력적인 DAW가 아닐까 싶습니다.

 

Presonus의 Hardware

PreSonus에서 판매하고 있는 다양한 하드웨어 (출처: PreSonus)

 

Studio One을 배포하는 Presonus는 Studio One이라는 프로그램보다는 레코딩 유저들을 위한 하드웨어가 더욱 유명한 측면이 있습니다.

저가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부터 꽤나 가격대가 있는 장비까지 다양하게 다루고 있고 이러한 장비들은 Studio One과 완벽한 호흡을 구사합니다.

 

하나의 회사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함께 다루고, 호환을 중요시하게 여긴다는 점에서 하드웨어 유저는 소프트웨어인 Studio One을 접하기 쉬워지고, Studio One으로 프리소너스를 접한 유저는 이와 어울리는 하드웨어를 알아보게 된다는 점에서 서로 시너지가 좋다고 생각됩니다.

 

단점

가격정책

 

프리소너스의 Studio One을 사용하면서 제가 느끼는 유일하고 치명적인 단점 한가지는 바로 가격정책입니다.

 

과거에는 Studio One Prime(무료버전)이나 Studio One Artist, Professional 과 같이 기능의 차이를 둬서 구매하거나 사용이 가능하게 했지만 최근에는 전부 구독제로 변경되었습니다.

 

물론 연간 구독제를 결제하면 Pro 버전을 영구히 사용 가능하지만 1년 후부터는 메이저 업데이트를 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구독제를 강제한다는 측면이 있습니다.

 

 

Studio One의 가격

Studio One Pro+

Studio One의 가격은 크게 두 종류입니다.

기능의 차이는 없으며 약간의 할인을 받는 연간 결제와 매월 결제가 있습니다.

 

Studio One은 구독제로 변경된 다음에도 자잘한 변화가 상당히 많았는데 그 과정에서 연간 결제 유저를 특별히 우대해서 특정 Add On을 무료로 사용 가능하게 한다거나 가상악기를 배포하는 등 월간 결제 유저들과 너무 큰 혜택의 차이를 주기도 했습니다.

 

당연하게도 가격도 비싸게 내는데 혜택도 받지 못하는 월간 결제 유저들은 크게 반발하였고 현재는 모든 기능과 애드온은 동일하지만 결제 방식만 매월, 연간 결제로 나뉘는 하나의 구독제로 통일되었습니다.

 

현재 Studio One Pro+의 연간 결제 유저는 하나의 혜택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결제가 마무리 되고 연간 사용이 끝나면 Studio One Pro 버전의 영구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다운 가능한 Studio One 은 가장 최신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게 되며 이후로도 메이저 업데이트를 제외한 버그 픽스 등의 마이너 업데이트는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메이저 업데이트의 경우 이 영구 버전은 더이상 지원하지 않으며 계속해서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고 싶다면 구독을 진행해야 합니다.

 

가격

 

현재 기준 Presonus 홈페이지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3 종류 입니다.

국내에서 구매 가능한 방법은 공식 홈페이지삼아스토어가 있습니다.

 

환율을 따져보면 왠만하면 삼아스토어가 더 저렴합니다만, 종종 Presonus에서 뿌리는 30% 할인 쿠폰을 받으신다면 공식 홈페이지가 더 저렴할 수 있으니 구매에 앞서 공식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시거나 일반적으로 할인하는 일정 주기가 있으니 연말이나 연초, 블프와 같은 할인 가능성이 높은 일정이 조만간이라면 잠시 기다렸다가 공홈에서 결제하시는게 더욱 저렴할 수 있습니다.

 

기입된 모든 가격은 2025년 2월 기준 입니다.

 

Perpetual License - $199.99 (삼아스토어 249,000원)

출처: PreSonus

 

Studio One Pro 7 의 영구 라이센스 구매 비용입니다.

 

구매 즉시 Studio One Pro 7을 영구적으로 소유할 수 있게 되며 현재 기준 가장 최신 버전으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빅 메이저 업데이트가 진행된다면 업그레이드를 위해 추가적인 비용을 지불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그보다 저렴한 연간 결제를 한번만 하더라도 동일한 영구 라이센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굳이 구매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Perpetual License with Pro+ Plan - $179.99 / year (삼아스토어 225,000원)

출처: PreSonus

매년 결제하는 연간 결제 방식입니다.

 

연간 결제로 구독한다면 위의 영구 라이센스가 자동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도 저렴한 연간 결제를 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또한 작업에 필요한 다양한 에드온이나 가상악기도 구독형 제품을 구매할 경우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가성비도 꽤나 괜찮은 편입니다.

 

특히 함께 제공되는 Notion이나 몇몇 가상악기의 경우 퀄리티가 좋아서 저도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 Monthly Plan - $19.99 / month (삼아스토어 25,000원)

출처: PreSonus

 

매월 결제하는 월간 결제 방식입니다.

 

가격은 당연히 연간 결제보다는 비싸지만 DAW를 알아보고 있는 입장이라면 한달정도는 월간 결제로 맛만 봐도 되지 않을까 싶기는 합니다. 음악 작업이라는게 특히나 홈레코딩을 하시는 분이라면 매일같이 콘솔이나 모니터 앞에서 작업을 진행하지는 않기 때문에 사실상 연간 결제가 아무리 가성비가 좋다고 하더라도 구독제의 특성상 뽕뽑기는 힘들 수 있습니다.

 

때문에 초기에는 이렇게 월간 결제로 작업을 진행해 보고 연간 결제로 들인 돈 만큼의 값어치를 할 수 있을것 같을때 연간 결제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구독과 함께 주어지는 에드온이나 가상악기의 경우 연간 결제와 동일하게 제공되지만, 구독 만료 후 Studio One Pro 영구버전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마무리

 

이렇게 Studio One 의 장단점과 가격에 대해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구독제라는게 일정 기간마다 계속 나가는 비용이라 1~2년이 쌓이면 또 다른 좋은 DAW를 영구히 구매하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구독했을때 얼마나 가치있게 사용할 수 있으냐를 잘 따져서 구매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DAW는 요즘 어떤걸 선택하셔도 다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문에 손에 조금 더 잘 맞거나 추구하는 방향성에 어울리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는게 장기적으로 음악을 하시는 데에 있어서 지치지 않고 눈에 보이는 결과물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이 글을 읽고 고민하시는 많은 음악가들이 포기하지 않고 자신만의 결과물을 내는 날까지 꾸준히 달려나가길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